김택수 칼럼
김택수 칼럼

"요소수 품귀현상으로 온통 나라가 시끄럽다".

이대로 가면 다음 달부터는 요소수 부족으로 인해 산업현장은 물론, 물류 대란이 불보듯 뻔한 일이다.

그렇다고 대책을 마련할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발등에 불 떨어진 정부는 뒤늣게 기업별 요청 물량의 현지 수출검사 진행 상황 등을 파악하는 등 뒷북행정을 그대로 보이고 있다.

그리고 중국 측에 신속한 검사 진행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해 중국 정부의 협조를 요청하고 있으나 결과는 별 소용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 하면 중국도 원유 생산이 마비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요소수를 사용하는 기업이나 물류 차질이 빚어지면 납품 일정 등에 영향은 불가피한 상황이 오고 말았다

한 달 전만해도 시중에서 10ℓ 한 박스에 8천원∼1300원 하던 요소수가 품귀 사태가 벌어지자 7만원에서 15만원까지 뒷거래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그것도 아는 사람에게만 남몰래 판매하고 있어, 장거리 운행 시 요소수가 떨어지면 차를 세워두고 하세월 기다려야 하는 일이 눈 앞에 다가왔다.

특히 판매업자들은 현재와 같은 요소수 품귀 상태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오는 12월부터는 시중에 유통되는 물량이 모두 바닥이 날 수도 있다는 전언이다.

정부가 뒤늦게 파악에 나선다고 무엇이 달라지겠는가?

겨우 정부가 내놓은 (안)으로는 요소수 매점매석을 비롯, 불공정 거래 행위를 막기 위해 업계와 공동으로 대응키로 했다는 것이 전부다.

그러나 물량(요소수)이 없는데 불공 정행위는 무엇이고 공동 대응은 무슨 뜻인가?

사태가 이쯤 되자 다급해진 정부는 러시아 등 다른 국가로부터 요소를 수입하는 방안도 업계와 함께 검토한다는 것이다.

물품(요소수)이 수입된다 해도 시중에 품귀 현상은 올해 풀리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최소한 2022년 상반기는 돼야 물품 수입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정부는 요소수 원료를 러시아에서 수입을 하든, 또 다른 나라에서 수입을 하든, '산업 또는 물류대란'을 막기 위해서는 발 빠른 움직임이 필요한 때다.

그렇치 않으면 요소수 파동으로 우리나라 경제는 모두 마비되고 말 것이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